루시 (2014)

Lucy 
6.6
감독
뤽 베송
출연
스칼렛 요한슨, 모건 프리먼, 최민식, 아므르 웨이크드, 줄리안 린드-터트
정보
액션 | 미국, 프랑스 | 90 분 | 2014-09-03
글쓴이 평점  


예고편을 보며 기대했던 내용과는 다른 영화.

인간이 뇌의 100% 사용하면서 벌어지는 사건들을 이야기하는데, 과학적으로 맞지는 않다고 한다.


흥미로운 부분은 루시가 시간과 공간, 존재(물질과 에너지)에 관해 이야기하는 부분.

속도가 무한대로 빨라지면 - 빛의 속도가 한계이겠지만 - 공간의 제약이 없어지면서 시간만이 존재를 규정한다는 이야기. 루시는 뇌의 100%를 사용하게 되면서 인식의 속도가 무한히 빨라지고 범위도 무한히 넓어진다. 그리고 사람들 눈 앞에서 사라진다. 존재가 사라진 것이 아니라 빠르게 공간을 이동하며 과거로 시간여행을 다녀온다. 마지막에 "I am everywhere."라는 메시지를 남긴다.


이런 상상을 해 본 적이 있다. 신이라 불리는 어떤 존재는 공간의 제약없이 편재하고 우리가 3차원 공간을 다니듯이 시간의 차원에서 돌아다니고 있지는 않을까? 그리고 우리는 유전자의 숙주라 할 수 있는데 생명의 게놈지도라는 건 과거에 어떤 신이 미래의 어떤 신에게 보내는 메시지가 아닐까? 그들에게는 1회성 메시지이고 시간은 일종의 메시지 파이프라인인 것이다. 중간에 멸종한 생물들은 그 시간대에 이미 수신완료한 메시지를 전달한 것이다. 지구라는 행성은 그들에게는 커뮤니케이션 역할을 하는 장치로 볼 수 있겠다. 허무해지는 생각.


영화 리뷰들을 보면서 또 하나 재밌다고 생각한 부분은 여러 연결 고리들.

일단 이 영화의 제목이자 주인공 이름인 Lucy.

인류의 시조로 알려졌고 아프리카에서 화석으로 발견된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여성의 화석의 애칭도 Lucy.

이 화석을 발견한 학자의 이름은 도널드 요한슨. 성이 같은 스칼렛 요한슨이 캐스팅된 건 우연일까?

화석을 발견할 당시 라디오에서 나오던 노래가 비틀즈의 Lucy in the Sky with Diamond.

이 노래는 마약 LSD와 관련이 있다는데, 영화에서 루시의 뇌를 활성화시키는 것도 CPH4라는 약물.


여기에서부터는 스포일 수도 있는데, 현존하는 인류의 지헤는 결국 현재의 인류 Lucy가 과거의 인류 Lucy를 통해 전해 준 것이다. 미켈란젤로의 '천지창조'에서 신이 아담에게 손가락을 서로 마주쳐 숨을 불어 넣어주며 인성을 부여한 것처럼...


그런데 감독이 하고 싶었던 이야기는 무엇일까?

책에서 HBR을 보다가 원문이 궁금해서 찾아봤다.

Not All Groups Are Teams: How to Tell the Difference
출처: Jon R. Katzenbach and Douglas K. Smith, <The Discipline of Teams>, Havard Business Review

What makes the difference between a team that performs and one that doesn't?

1. working group의 특징
• Strong, clearly focused leader
• Individual accountability
• The group’s purpose is the same as the broader organizational mission
• Individual work products
• Runs efficient meetings
• Measures its effectiveness indirectly by its influence on others  (such as financial performance of the business)
• Discusses, decides, and delegates

2. team의 특징

• Shared leadership roles
• Individual and mutual accountability
• Specific team purpose that the team itself delivers
• Collective work products
• Encourages open-ended discussion and active problem-solving meetings
• Measures performance directly by assessing collective work products
• Discusses, decides, and does real work together

* team의 필수 5가지 요소
1. A meaningful common purpose that the team has helped shape.
2. Specific performance goals that flow from the common purpose.
3. A mix of complementary skills.
4. A strong commitment to how the work gets done.
5. Mutual accountability.

대부분의 팀은 아래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고 한다.
1. Teams That Recommend Things. (무언가를 추천하는 팀)
• For a team whose purpose is to make rec-ommendations, that means making a fast and constructive start and providing a clean handoff to those who will implement the recommendations.  
2. Teams That Make or Do Things. (무언가를 실행하는 팀)
• For a team that makes or does things, it’s keeping the specific performance goals in sharp focus. 
3. Teams That Run Things. (무언가를 관리하는 팀)
• For a team that runs things, the primary task is distinguishing the challenges that re-quire a real team approach from those that don’t. 

업무에 따라서는 working group이 team보다 더 효율적일 수 있다. 특히 무언가를 관리하는 팀에서는...
어쩌면 팀에 대한 오해는 조직에서 팀제를 도입하면서 본래 팀의 의미보다는 하나의 하위 조직으로 이름만 붙인 데에서부터 시작되었는지도 모르겠다.

높은 성과를 내는 조직을 만든다는 것은 참 어려운 일이다. 그것이 team이든 working group이든...
세상 일이 모두 사람이 가장 문제이고 핵심이다.

 허황옥 루트, 인도에서 가야까지 - 8점
 김병모 지음/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Daum 책 상세보기

가야는 아직까지도 신비한 나라로 남아 있다.
특히 가야의 김수로왕과 혼인한 허황옥이 인도에서 왔다는 기록은 여러 해석이 있지만 신기할 따름이다.

이 책에서는 저자가 물고기 문양을 통해서, '인도'에서 '가야'까지 오게 된 경유를 추적한다.
역사 이야기에 관심이 있다면 한 번 읽어볼 만한 내용이다.


100년의 난제 : 푸앵카레 추측은 어떻게 풀렸을까?
필즈상을 거부하고 은둔한 기이한 천재 수학자 이야기 - 8점

가스가 마사히토 지음, 이수경 옮김, 조도상 감수/살림Math


                                                                    Daum 책 상세보기

작성일자 : 2009-10-20 18:47
yes24에 올렸던 서평

수학 그 자체보다는 그 안에 숨어 있는 이야기다.
사이먼 싱의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와도 유사한 구성이다. TV 다큐멘터리로 제작된 내용이라는 점도 유사한 점이다. 다른 점이 있다면, 이 책은 수학자들 인터뷰 내용이 중심이라서 마치 다큐멘터리를 보는 듯 하다. 차라리 다큐멘터리를 한 번 보고 싶어졌다.

푸앵카레 추측은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보다는 유명하지 않지만, 이 책을 통해서 대략적인 흐름만은 알 수 있었다. 어려운 내용들을 비교적 쉽게 설명하고 있어서, 부담없이 읽을 수 있었다. 한편으로는 많은 이야기를 하지 않아서 아쉬운 부분도 없지 않았다.

페렐만이 "나는 아무것도 일어나지 않을 경우도 각오하고 있다."라고 한 말이 자꾸 기억에 남는다. 우리 모두 살아가면서 어려운 문제에 수없이 부딪히는데, 그것을 해결하겠다는 의지와 실패할 것을 각오하는 용기라는 것이 어려운 듯 하다.

한 가지 불만은 책 뒤에 색인 페이지가 없다는 것이었다. 읽다 보면 앞의 내용을 다시 보고 싶은데 말이다.
이 책을 보고나서, 도널 오셔의 <푸앵카레의 추측>을 한 번 읽어볼까 한다.

덧붙임) 다큐멘터리는 구글에서 찾아보면 많이 나온다.

[참고URL]
wikipedia: http://en.wikipedia.org/wiki/Poincaré_conjecture
Wolfram Mathworld: http://mathworld.wolfram.com/PoincareConjecture.html
YouTube: http://www.youtube.com/watch?v=TzMZKiCgEVE
거문오름은 유네스코가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한 '거문오름 용암동굴계'의 시작점이다.
반드시 탐방 예약을 하고 가야 한다.

바람도서관에서 트래킹&하이킹 코스 참가자를 모집하길래 참가했다.
한가운데의 알오름과 이를 둘러싼 9개의 각 용 - 봉우리를 걷는데 신비한 느낌이 드는 경치였다.

거문오름 트래킹이 끝나고, 용암동굴계를 따라 김녕해수욕장까지 자전거를 타고 내려왔다.
먹거리와 이야기가 있어서 더 좋았던 여행...

제주의 오름은 한라산과 함께 참 매력적이다.
10월 9일은 한글날.
트위터에서는 '#한글날' 이라는 해쉬태그를 달자는 운동 아닌 운동(?)이 벌어지기도 했다.

최근 인도네시아 소수민족인 찌아찌아족(?)이 자신들의 고유한 토착어인 찌아찌아를 표기하는 문자로 한글을 사용한다는 기사를 보았다. 예전에 동티모르에서도 한글을 사용하기로 했다는 기사도 봤다. 이를 두고, 한글이 우리 것이니 좋은 것이다 혹은 자랑스럽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문자는 인류의 위대한 발명이고, 한글 또한 우리 민족의 위대한 발명이라고 생각한다. 세계가 가까워질수록 영어 뿐만 아니라 그 영어를 표기하는 알파벳도 지구별 곳곳에 스며들고 있다. 이런 때에 우리 고유의 문자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자부심을 가질 만하다. 우리 문화의 고유함이 사라지지 않는 것은 한글의 영향도 상당하리라 생각한다.

한글을 다른 땅에서 자기들 언어의 표기문자로 사용한다고 해서 좋아하고 있을 때가 아니다. 한글날이라 한글에 대해 이야기는 많이 하는데, 한글의 비젼이 빠져있는 것 같다. 한글의 미래 뭐 그런거?

한글이 우리 문화에서 여태까지 살아남아 우수함을 알릴 수 있게 된 건 무엇때문일까? 그것은 우리의 문화 속에 한글이 살아 숨쉬고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언어, 정보, 지식 등이 널리 한글로 생산되고 유통되고 있다. 그 이전에 쓰이고 있던 한자와 함께 공존하고, 현재는 알파벳과도 공존하며 우리 사회에서 아직은 살아 있다.

요즘 최첨단 정보는 어디에서 얻을 수 있는가? 거의 대부분이 영어로 된 텍스트에서 얻고 있다. 세계의 생각, 지식과 정보들이 영어로 생산되고 있는데, 영어와 영자 알파벳의 힘은 여기에 있는 것 같다. 정보의 유통속도가 빨라지면서 영어와 알파벳의 힘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좀 진부한 이야기지만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한글의 주요 사용자인 우리가 지식과 정보를 한글로 생산하고 한글로 된 문화를 누리는 가운데, 한글은 좀 더 생명력을 얻을 것이다. 한글이 미래에도 생명력을 간직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개인적으로 난 번역이 지금보다 활발하게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영한, 한영 둘 다 해당한다. 그것이 번역가 또는 번역기일수도, 영한 bilinguist 일 수도 있다. 일본이 18, 19세기 서양 문명을 빠르게 받아들여 다른 아시아 국가들에 비해 빠르게 세계질서의 흐름에 편입할 수 있었던 것도 그 시작은 번역이었던 것 같다. 서양의 책을 번역하면서 정보와 지식을 일본화했던 것이다. 한자문화권에서 사용하고 있는 용어들은 당시 일본 지식인들이 번역한 데에서 비롯되었는데, 어쩌면 우리는 이렇게 일본화된 서양문화를 받아들였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영어 교육에 엄청난 힘을 쏟고 있으니, 알파벳을 낯설게 느끼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영어로 된 원문을 읽을 수는 있는 수준이니, 굳이 한글을 통해 정보나 지식을 받아들이지 않아도 될 것이다. 그러나, 그 이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도 이것이 맞는 것일까? 한국어와 한글로 사고하는 방식을 버리고, 영어와 알파벳으로 사고하는 방식을 따라가게 된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한글과 영문을 자유자재로 완벽하게 전환할 줄 알아야 한다. 이것이 필요한 것일까? 또한 가능한 것인가?

현재 세계에서 지식과 정보의 중심에 영어가 있다는 것을 부정할 수 없다. 우선 우리는 그것을 빠르게 한글로 바꾸어, 한글 문화 속에 지식과 정보를 쌓아가야 한다. 그 다음 이러한 복제와 맞춤을 벗어나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창출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한편으로는 아직 문자가 없는 지역에 한글을 홍보하고 보급하면, 언젠가는 한글도 영어와 대등한 또 하나의 중심 문자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설사 그것까지는 아니더라도, 한글이 주변 문화로서 살아남을 수 있는 길이 아닐까 싶다. 한글을 더 이상 우리 단일 민족의 소유가 아닌, 인류의 문화유산으로 공유했으면 좋겠다.

한글이 좋으니까... 너무 뜬구름 잡는 이야기인가? ^^

덧) 작은 지식 조각 하나.
최초의 한글소설은?
: 홍길동전 or 설공찬전 ...
지난 번 포스트를 작성한 후, 야후코리아 검색으로 들어온 레퍼러가 많았다.
왜 그런가 봤더니, 이요원~ 서제스트 1위였다.
야후코리아 검색으로 들어온 레퍼러에도 종종 'fr=kr-autotype_fp'이란 파라메터가 붙어 있었다.
아래 캡쳐화면을 보면, '이요원 9년전'이라는 키워드는 야후코리아 에서만 볼 수 있다.

012345


각 검색서비스마다 검색어 자동완성으로 서제스트해주는 키워드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차이가 나는 원인이 무엇일지 궁금하다. 무엇일까?


1. 잡지 이야기
1990년대 후반에서 2000년대 초반에는 대중적인 컴퓨터 잡지가 참 많았던 것 같다.
그 중에서 <마이컴>을 사서 즐겨 보고는 했는데, 중간에 폐간되었다.
이후로는 <How PC>를 사서 보다가, 인터넷이 보급되면서부터는 <How Internet>도 같이 사서 많이 본 것 같다.
<aha PC>가 창간되면서부터는 위 세 잡지 중에서 하나 이상은 구입해서 봤다.

생각해 보면, 그 당시에는 만화잡지도 영화잡지도 많아서 종이 잡지에서 볼 거리가 많았다.
그래서, 매 달 잡지들이 나오는 날이면, 가까운 서점에 가서 그 달에 볼 잡지를 살피면서 고민하던 때가 생각난다.

요즘 MBC 드라마 <선덕여왕>을 즐겨 보는데, 주인공으로 나오는 이요원을 보면 위 잡지를 사던 날이 생각난다.
그 날도 어김없이 서점에서 잡지를 고르다가, 표지모델 때문에 <How Internet>을 구입했다. 원래 PC잡지들이 여자 모델을 쓰지 않는데, 이번 호만 달랐다. 표지모델이 마음에 들어 구입한 잡지는 이게 처음이자 마지막이었던 것 같다.

이요원이라는 배우를 특별히 좋아했던 것도 아니었고, 그 당시에는 어떤 드라마나 영화에 나왔는지도 잘 몰랐던 것 같다. 지금 와서 보니, 그 이후에 출연한 영화 <고양이를 부탁해>나 드라마 <패션 70s>, <외과의사 봉달희>가 기억에 남아 있다. 사실, 1년 전까지만 해도 TV를 즐겨 보지 않았던 터라, 본방사수할 정도로 즐겨 본 것은 아니었다.

최근에 OCN에서 <광식이 동생 광태>를 다시 봤는데 거기에도 출연했다. 이 영화에는 유명해진 이후에 출연한 것 같다. - 이 영화에 나오는 광태(봉태규 분) 친구로 나오는 배우 중에서 낯익은 배우가 있다. 정경호 말고 다른 한 친구로 나오는 배우인데, 김형민이라는 배우로  바로 <천추태후>에 사가문 역으로 나왔다.

이요원 How Internet 2000.07 표지모델


요즘 드라마 <선덕여왕>을 TV로 보다가 위 잡지 표지가 생각나서, 책장 구석에서 오래된 잡지를 꺼내 봤다.
9년 전이나 지금이나 그리 변하지 않았다. 지금은 결혼도 하고 아이 엄마가 되었다는데, 그 미모는 여전하다. -_-;;


2. 드라마 이야기
그나저나 <선덕여왕>을 첫 회부터 보지는 못했는데, 점점 재밌어진다. 개인적으로 가장 궁금했던 것이
개인적으로 가장 궁금한 내용이 비담의 반란이 드라마 상에서 어떻게 그려질 것인가였다.
그런데, 그저께 월요일 (2009.09.07) 방영분 마지막 부분에서 그 복선이 깔린 듯 하다.

비담은 내심 왕좌를 꿈꿀 것 같고, 덕만공주가 왕에 오름으로써 그 바람은 한 번 꺾일 것이다.
이는 비담과 유신의 대립으로 이어질 것이고, 선덕여왕의 후계를 정하는 과정에서
한 번 더 왕이 되기를 시도하는 비담은 반란을 일으킬 듯 하다.
결국 반란은 실패로 돌아가고, 유신은 그 반란을 잠재우면서 더욱 힘을 얻을 듯 하다.
그리고, 신라는 진흥대제의 유지를 계승하려는 춘추와 유신의 시대가 되는 것으로 마무리가 될 것 같다.
진흥대제의 유지는 결국 신라를 강성하게 하여, 삼한일통 (삼국통일)을 의미하는 것이 아닐까?
드라마 전체의 흐름이 진흥대제에서 비롯되고 있어서 드는 생각이었다.

어제 화요일 (2009.09.08) 방영분에서는 국호인 신라의 3번째 의미가 가지는 비밀이 또 하나의 스토리를 이어간다.
역사를 이해하는 데에 왕권과 신권의 관계는 흥미로운 관점이 되고는 하는데, 어제 화요일 방영분에서는 미실이 이를 언급한다. 또한, 신라의 3번째 의미는
삼한일통 (삼국통일)을 의미할 것 같다. - 많은 사람들이 이렇게 생각하고 있을 듯 하다. 진흥대제와 선덕여왕, 김유신의 공통점은 거기에 있어서 드는 생각이었다. 거기에다가, 국조 혁거세의 고향인 대륙으로 진출하는 것까지 확장할 수 있을 듯...

다른 이야기를 하자면, 드라마 <천추태후>에서는 황주소군이 금나라 건국과 연관이 있을 듯 하다. 황주소군은 천추태후와 김치양의 아들이다. 그리고, 천추태후는 고려 태조 왕건의 손녀이며, 김치양은 신라 마지막 태자인 마의태자의 손자로 나온다. 황주소군은 여진족으로 돌아가서 고려와 신라의 뜻을 이어 받아 금나라를 세우게 되고, 신라와 고려, 나아가서는 고구려와 발해를 계승하게 될 것 같다.
 

어쨌든, 요즘은 인터넷하는 것보다 TV로 <선덕여왕>보는 게 더 재밌다. ^^;
나중에 시간이 되면, 그 동안 생각해오던 국내 컨텐츠와 사극 드라마에 대한 이야기를 해도 재밌을 것 같다.

Problem 15 : Starting in the top left corner in a 20 by 20 grid, how many routes are there to the bottom right corner (without backtracking)?

예시) 2 by 2 grid


시작점에서 끝점까지의 모든 경로는 가로 변과 세로 변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모든 경로에서 경로의 길이는 같으며, 그 경로를 구성하는 가로 변 길이의 합과 세로 변 길이의 합은 서로 같다.
그럼, 각 점에서 오른쪽 방향(가로), 아래 방향(세로) 두 가지 방향을 선택하는 문제로 볼 수 있다. 결국, 이 문제는 정사각형이 주어졌을 때, 전체 경로 (= 가로의 경로 개수 + 세로의 경로 개수) 중에서 가로 개수와 세로 개수가 같은 경우가 몇 가지인지를 찾아내는 문제로 생각할 수 있다.

n by n 정사각형일 때 시작점에서 마지막점까지 가려면, 가로 n번, 세로 n번을 가야 한다.
따라서, 2n 개 중에서 가로 n개, 세로 n개를 선택하는 문제가 된다.

** 이 문제에 예시로 나오는 그림을 시계방향으로 45도 돌려서 보면,
파스칼의 삼각형(Pascal's triangle in wikipedia)의 한 부분이 떠오를 것이다.

n <- 20
choose(2*n, n)


유럽여행 - 8점
카테고리 여행/기행
지은이 이상묵 (디지털북스, 2008년)
                            Daum 책 상세보기

유럽여행이야기이면서, 역사 에피소드에 더 가깝다.
신문에 연재되던 글이라서, 쉽게 짧은 호홉으로 술술 읽을 수 있었다.

영국에서 출발하여, 프랑스, 이탈리아를 건너 그리스, 터키의 이스탄불까지...
그리스 신화 이야기나 르네상스 시절 이야기를 좋아해서, 개인적으로 이탈리아와 그리스 이야기가 가장 재밌었다.

여행하고 싶다. 그런데, 아직은 직접 보면서 그 안에 있는 것들을 느껴볼 수 있을지 자신이 없다. 관광이 아닌 여행을 하고 싶기에... 여행을 통해서 이 사람은 그 지역의 과거 역사들을 보고 왔지만, 난 거기에 현재까지 이어지는 무언가를 느껴보고 싶다.

어릴 때부터 세계일주의 꿈이 있었는데, 언젠가 세계일주가 아닌 세계여행을 떠나게 될 것 같다.
아직은 미정이지만... To be continued...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