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철의연금술사1~25권세트
카테고리 만화
지은이 (학산문화사, 2010년)
상세보기

워낙에 유명한 만화이고, 만화책 뿐만 아니라, TV 애니메이션, 영화로도 나왔다.
소년만화이니 강철의 연금술사는 곧 에드워드라는 천재소년 연금술사가 주인공이다.

1. 연금술과 연금술사
판타지에는 종종 연금술사라는 직업이 나오는데, 여기에서는 일종의 과학지식을 사용해 마법같은 기술을 구사하는 자들이다. 이 시대의 연금술은 세상 물질을 이해하는 과학지식에 가깝다. 연금술사는 이 지식을 활용해서 연성진을  만들어 주변의 물질을 변화시킨다. 적들과 싸우면서 땅바닥에서 주먹이 나오기도 하고, 불을 뿜기도 한다. 망가진 물건을 금새 수리하기도 한다. '연금술사'가 등장하면 빠질 수 없는 게 '현자의 돌 (Philosopher's stone; Lapis philosophorum)'이다. - 해리포터에서도 등장하지만, 연금술사/마법사들은 궁극적으로 최고의 칭호인 Philosopher를 추구한다. - 이 만화에서도 등장하는데, 여기에서는 최고의 가치 사람의 '생명'과 연관이 있다.

2. 등가교환의 원리
이 만화에서 계속해서 등장하는 '등가교환의 원리'는 작가가 스스로 만든 일본식 한자용어인 것 같다. 경제학 용어와도 유사하고, 아인슈타인이 발견한 'E=mc²'공식으로 유명한 '질량-에너지 등가원리'와 유사하다. 이는 극중 에드워드의 대사를 보면, 라부아지에가 발견한 '질량보존의 법칙'에 가깝긴 하다. 인체 연성에 실패하고 진리의 문 너머를 본 사람들은 자기 신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잃는 대신, 연성진 없이도 연금술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어떤 댓가(에너지)는 반드시 희생(질량의 손실)을 따른다는 것이 등가교환의 원리가 말하고자 하는 핵심이다.

3. 호문쿨루스
이 만화에도 호문쿨루스가 등장하는데, 연금술사들의 강력한 적이고 라이벌이다. 엘릭 형제의 아버지와 같은 형상을 한 '아버님'이라 불리는 '플라스크의 난장이'가 원조 호문쿨루스다. 다른 호문쿨루스는 모두 7명으로 현자의 돌로 만들어지는데, 자세한 사항은 언급되지 않는다. 이 7명은 성경에 등장한다고 하는 인간의 7가지 죄악 - 러스트(Lust), 글러트니(Gluttony), 엔비(Envy), 그리드(Greed), 슬로스(Sloth), 라스(Wrath), 프라이드(Pride) - 을 상징한다. 이것들을 캐릭터화했으며, 각각의 호문쿨루스는 저마다 특수능력을 지니고 있다.

4. Xing의 연단술
Xing이라는 이웃나라에서 온 사람들은 연단술을 사용하는데, 연금술과 비슷하면서도 다르다. Xing은 영락없는 중국을 모델로 한 콘셉트이고, 연단술은 도가의 기공술을 모델로 한 것이다.

5. 이슈발 사람 스카
이슈발 내전에서 국가 연금술사들이 행한 이슈발 사람 학살은 모두가 현자의돌 연구를 위한 음모에 의한 것이었다. 스카는 내전 당시 형을 잃었으며, 형으로부터 연성진이 그려진 오른팔을 받았다. 이 연성진은 특이하게 물질을 분해하여 파괴시키는 연금술을 사용한다. 그래서, 연금술에는 천적관계에 있는 능력이다.

이 만화는 연금술사와 현자의 돌의 재해석을 통해, 새로운 세계관을 창조해냈다. 거기에 소년만화의 특징을 잘 살린 캐릭터와 이야기 구성이 인기의 비결이 아닐까?

고민이 많았던 20대.
고민의 중심에는 행복한 삶에 대한 생각이 있었다.
행복해지는데 필요한 건 무엇일까. 생각을 많이 해 봤다.

윤리학 강의 시간에 아리스토텔레스가 이야기한 문구가 눈에 띄었다.
책 속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이 살아가면서 추구할 것은 행복이라고 했다.
그저 막연하게나마, 행복해지려면 하고 싶은 것을 하면 되지 않을까 생각을 했다.

행복해지기 위한 경제적 조건인 돈도 생각해 봤으나, 행복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지는 않다고 생각했다.
돈은 소유에 행복이 있는 것이 아니라, 활용에 행복이 있는 듯 하다.
아직 내가 부자라고 생각해 본 적이 없어서, 모든 부자들이 행복 또는 불행하다고 말하지는 못하겠다.

그럼, 하고 싶은 것을 하려면, 어떻게 살아야 할까.
현실적으로 하고 싶은 것을 모두 할 수 없다. 해야하는 것도 있고, 할 수 없는 것도 있다.

그래서, 살아가면서 하는 일을 세 가지로 나누어봤다.
그 당시에는 세 개의 원이 서로 겹쳐진 3원색 그리듯이,
벤 다이어그램을 그려 영역을 나누었는데, 아래 간단히 적어본다. 


원1. 하고 싶은 것 what I want to do
원2. 해야 하는 것 what I must do
원3. 할 수 있는 것 what I can do

위 세 가지가 일치하면 행복한 삶을 살게 되지 않을까.
일치하지 않을 때, 불일치 상황에 따라 여러가지 계획된 시나리오를 사용할 수 있다.

각 원을 생각하고 분류하는 작업이 생각보다 어려웠다. 그 만큼 애매하거나 막연한 것들이 많았다.
그리고, 시나리오가 세워지면, 결국 실행이 관건이었다.
모든 실행과 결정이 그렇듯이, 약간의 용기와 결단이 필요했다.

어떤 조직이나 기업도 마찬가지일 듯 하다.
1. 하고 싶은 것 = 목표
2. 해야 하는 것 = 제약조건
3. 할 수 있는 것 = 활용가능자원

사실 위 세 가지로 나누어 생각한 방법은 온전히 스스로 생각해 낸 것은 아니다.
C. West Churchman이 Systems Approach로 제시한 내용을 들은 적이 있는데, 거기에서 힌트를 얻은 내용이다.
강의에서도 비슷한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는데, 아마 아이디어 출처가 같은 곳인 듯 하다.

나는 행복한 삶을 위해, 잘 하고 있는 걸까?
목적지를 자꾸 잊어 버리는 듯한 생각이 든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