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해 봤다.
value chain : Contents - Platform  - Network - Terminal - End Users


흔히들 정보가 중요하다고들 한다.
데이터를 빠르게 해석하여, 유의미한 정보를 만들어내고 활용하는 기업이 경쟁우위를 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 대량의 데이터는 어디에서 수집할 수 있을까?
사실 어떤 기업이든지 데이터는 모아지고 있을 것이다. 많은 기업들이 데이터를 모으고 해석하는 능력이 가능하다.
하지만, 불특정 다수의 전체 소비자에 대해 알 수 있는 기업들을 꼽아본다면, 아래와 같은 업체들이 아닐까 한다.

1. 대형 유통업체

Wall-mart나 이마트 등과 같은 대형유통업체들이 있다.
전국 각 요지에 있는 대형유통업체들은 소비자들의 직접적인 구매행태를 데이터로 모을 수 있다.
백화점이나 할인마트에서 멤버쉽 서비스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2. Telecom Network 서비스 제공자

SKT나 KT 등과 같은 통신사업자들이 있다.
통신서비스는 소비자들의 트랜잭션이 활발하다.
특히, 오늘날에는 이동통신 서비스들은 이동성을 무기로 사람들의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을 기반으로 한다.

통신 서비스회사들 또한 멤버쉽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가격할인과 포인트적립 등의 부가서비스 제공하고 통합 membership을 구축하여,
고객의 Loyalty를 높이고 고객의 Life-Time Value를 극대화하려는 노력이다.
이것은 Transaction Data를 Communication에서 주요 Consumption expenditure까지 확대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3. Credit Card 서비스 제공자

금융업은 서비스과정에서 소비자들이 자신의 자산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는 곳이다.
예금, 대출, 결제 등을 통해서, 고객들의 현금흐름이 발생한다. 
특히, 신용카드회사들은 소비지출 데이터를 모을 수 있다.
신용카드는 기본적으로 멤버쉽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다.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누가 뭐래도 가장 많은 데이터를 모을 수 있는 곳은 국세청이다.

텔레콤회사는 제휴된 업체들에서의 소비행태만을 고려가능하지만,
신용카드회사는 소비자의 소비지출 대부분을 커버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대부분의 결제를 그 신용카드로 한다면 말이다.
텔레콤회사의 멤버십카드는 주로 다른 결제수단에 덧붙여 사용되기 때문에, 고객의 메인카드가 아니어도 된다.
신용카드는 메인으로 사용되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신용카드는 Wallet Share가 특히 중요한 듯 하다.

4. 검색 서비스 제공자

현재 소비자들의 attention을 가장 많이 모을 수 있는 기업은 어디일까?
세계적으로는 Google이고, 국내에서는 nhn이다.   

Google의 핵심역량도 '대용량의 데이터를 빠르게 잘 해석하는 능력'에 있는 것 같다.
Google의 기술은 모두 그것을 위해 필요한 것이다.
 
그런데, 검색 서비스 업체들의 데이터가 Telecom Network Service기업과 
credit Card Service 기업에 비해 취약한 부분이 바로 이동성이다.

Telecom Network 기업은 Mobile Device를 Terminal에 접점을 가지고 있고,
Credit card 기업들은 신용카드라는 Terminal에 접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비해, 검색서비스는 검색창을 제공하는데, 현재는 주로 Desktop PC와 인터넷망을 통해 접근하고 있어,
장소에 제약을 받고 있다. 최근 모바일기기의 인터넷이 활성화되면서 이러한 장소의 제약은 사라질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위 4개의 기업들이 제공하는 서비스들은 모두 Mobile Device 같은 하나의 Terminal로 통합될 수 있다.
과연 이 모바일 플랫폼을 지배할 곳은 어디가 될 지도 흥미롭게 지켜볼 일이다.

5. 덧붙이는 생각

위 기업들의 공통점이 바로 소비자들의 니즈에 따라 Transaction이 발생한다는 점이다.
데이터 통합, 수집 및 해석 등은 항상 개인정보 노출과 사생활 침해의 가능성을 함께 가지고 있다.
이러한 부작용을 제거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하여 비즈니스와 연결시킬 수 있을 지에 대한 문제도 있다.
막상 데이터에서 유의미한 정보들을 만들어내고, 이를 활용할 방법을 찾는 것이 어려운 부분이다.

또, 다른 생각을 덧붙인다면, 바로 이러한 기능을 서비스화하는 기업들의 가능성에 대한 것이다.
몇몇 기업들은 대량의 데이터를 모으고 해석하는 데에 필요한 컴퓨팅 자원을 적절하게 제공함으로써, 
각 기업들안에 모이는 데이터를 분석을 제대로 제공하는 유틸리티 서비스도 활발해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봤다.

특히, 위 4개의 기업들이 자신들의 내부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외부 기업들이 가진 데이터 분석에도 활용가능하다면 어떨까?
그리고, 거기에 가장 가까운 기업은 어디일까?
허나, 당분간은 이러한 데이터 수집, 분석 자체가 차별화된 자산이므로, 기업 내부에 두게 될 것 같기도 하다.

어제 매경에서 재미있는 기사를 봤다.
검색해보니, 며칠 전의 기사를 재탕한 기사인 듯 하다.

위 기사에 따르면, Google과 P&G 직원 교류 프로그램을 실시한다고 한다.
대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교환학생 프로그램 같은 것인가?

서로의 회사에 파견되어 근무하면서 교육받는 형태인 것 같기도 하다.
개인적으로 이 두 회사가 이러한 교류를 한다는 것에 흥미를 느꼈다.
물론, 이 만남의 효과는 클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지만, 이것을 예측하는 것은 섣부른 판단일 듯 하다. 
단지, 이러한 만남 자체를 생각하고 실행했다는 점이 흥미로울 뿐이다.

서로 다른 영역의 두 기업이 만나서 어떤 이야기를 나눌 지도 흥미로운 점이다.
Google은 20% Rule, 소규모 팀의 유지, 공유와 협업, 커스터마이즈, 테스트 방법 등의 개발체계로 유명하다. 
그리고, P&G는 그동안 성공적인 브랜드를 많이 배출했으며, 마케팅 역량이 풍부하다.
게다가 마케팅 사관학교라고 불리울 만큼, 신입사원부터 마케터, 브랜드매니저까지 트레이닝 잘 시키기로 유명하다고 한다. 

한 곳은 자유로운 분위기, 또 한 곳은 엄격한 분위기로 대비되는 기업문화를 가지고 있다.
두 회사 조직의 공통점 중의 하나는 뛰어난 제품 및 브랜드를 개발하고 관리한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를 위해 개인의 능력을 인정하고 창의력을 끌어내는 데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점이다.
실제로 경험해보지 않았지만, 매체나 연구를 통해 수없이 내보내는 내용으로 추적해 보면 그렇다는 이야기다.
두 회사 모두 각 업계내에서 1위를 하는 업체들이라, 약간 과장되거나 미화되는 경우도 없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이들이 World Class Players 라는 점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창의력이 자유롭게 발휘되고 유지될 수 있는 조직의 모습에 대해 관심이 있었다.
창의적인 조직으로 인정(?)받고 있는 두 회사의 만남의 결과가 궁금해진다.

내가 생각하기로는, 창의력은 무(無)에서 유(有)를 만들어내는 것과 다른 의미를 지닌다.
창의력(Creativity)이란 문제해결을 위해 한 분야에 얽매이지 않으며, 
다양한 방법을 자유롭게 시도하고 적절히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생각한다. 
이는 다양한 경험들, 지식들, 그리고 그 사이를 넘나들며 연결고리를 찾아내는 통찰력에서 비롯될 것이다.
이는 또한, 자유로운 환경에서 극대화된다고 생각한다. 억압적이거나 경직된 환경에서는 사고도 그렇게 따라가기 마련이다.
창의적이고 자유로운 환경을 조직화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개인으로 하나의 조직에 속해 있으면, 다른 조직은 어떨지 궁금하게 되나 보다.
이야기는 많이 전해 들을 수 있으나, 실제로 그 기업에서 경험하지 않으면 잘 모를 수 밖에 없다.
이들도 그렇지 않았을까? 특히, 상대방 기업에 대해 호기심으로...


+ Recent posts